'자녀'에 해당되는 글 4건
- 2015.08.27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27 Thursday
- 2015.08.01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01 Saturday
- 2015.07.06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06 Monday
- 2014.09.05 :: [121] 2014.09.05 Friday 내가 매일 QT하는 생명의 삶~~
365 이야기
신앙 생활을 오래 하다 보면 실수 하는 것이 있습
니다. 하나님을 믿으면서도 순식간에 하나님의
능력을 잊어버립니다. 종종 하나님을 우리처럼
생각합니다. '내가 못하니 하나님도 못하실 것이
다' 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인간이 아
닙니다. 하나님은 능력이 있는 분이십니다. 하나
님은 안 된는 것이 없고 못하는 것도 없으십니다.
또한 우리는 현실의 권력을 두려워합니다. 세상
에 겁먹지 마십시오. 세상이 여리고성 같고 태산
같이 느껴져도 세상의 물질과 권력, 인기에 겁먹
지 마십시오. 우리는 당당한 하나님의 자녀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자녀답게 사십시오. 하나
님은 두려워해야 합니다.
성령 받은 사람의 충고는 겸손히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사탄의 조소와 비난에는 겁먹을 필요가
없습니다. 두려워 하지 마십시오. 담대하십시오.
믿음으로 소신껏 살아가십시오.
"이르시되 너희를 위로하는 자는 나 곧 나이니라
너는 어떠한 자이기에 죽을 사람을 두려워하며
풀 같이 될 사람의 아들을 두려워하느냐."(사 51:12)
<감사의 저녁 - 하용조>
'매일QT로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29 Saturday (0) | 2015.08.29 |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28 Friday (0) | 2015.08.28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26 Wednesday (0) | 2015.08.26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25 Tuesday (0) | 2015.08.25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24 Monday (0) | 2015.08.24 |
365 이야기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한 사람에게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습니다.
우리는 혈통이나 가문이나 인간의 생각이나
욕정이나 사람의 뜻으로 구원받은 것이 아닙
니다. 나의 나 된 것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입
니다. 내가 예수를 믿게 된 것도 하나님의 은
혜요. 내가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도 하나님
께서 나를 선택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선택에는 조건이 없습니다. 우리가 자격이 있
어서가 아니라 그분이 우리를 선택했기 때문
에 그분의 자녀가 된 것입니다. 그것을 가리켜
'은혜'라고 말합니다.
은혜를 받으려면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 곧 빛
의 영광 가운데 들어갑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본다는 것은 하나님의 빛, 하나님의 영광, 빛의
광채를 보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보면
찬양이 나오고 그분을 경배하게 됩니다. 저절
로 기도하게 됩니다. 그분의 영광을 바라보면
서 그분의 영광의 옷을 입고 그분의 빛을 바라
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빛의 자녀로서의 삶입
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입고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영접하면 그분의 빛의 옷을 입고 이 어둠의
세상에서 빛의 자녀로 살아가게 됩니다. 그것
이 기적입니다. 날마다 그 기적을 누리십시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
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요 1:14).
<감사의 저녁 - 하용조>
'매일QT로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04 Tuesday (0) | 2015.08.04 |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8.03 Monday (0) | 2015.08.03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31 Friday (0) | 2015.07.31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30 Thursday (0) | 2015.07.30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27 Monday (0) | 2015.07.27 |
365 이야기
사랑은 수치를 당하는 것입니다. 상대를 위해 수치
를 겪지 않는 것은 사랑이 아닙니다. 자녀가 잘못
되었을 때 부모가 수치를 당하는 것은 그 자녀를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위하여 수치를 당하셨고 매를 맞
으셨고 모멸감을 맛보셨습니다. 우리가 한 것은 배
신과 죄 짓는 것뿐인데도 예수님은 우리를 잊지 못
하시고 아무 말 없이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셨습
니다. 예수님이 이런 수치와 모멸을 당하셨기에 우
리가 구원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주변에 있는 별 볼일 없고 작은
사람들을 위해 희생하는데 너무나 많이 주저하고
고민합니다. 참된 인생은 나를 위해 사는 것이 아
닙니다. 하나님과 다른 사람을 위해 사는 인생이
값진 인생입니다. 당신은 가치 없는 사람을 위해
서 일할 수 있습니까? 그렇게 할 때 예수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
믿음의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
자 저는 그 앞에 있는 즐거움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히 12:2).
<행복한 아침 - 하용조>
'매일QT로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08 Wednesday (0) | 2015.07.08 |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07 Tuesday (0) | 2015.07.07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04 Saturday (0) | 2015.07.04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03 Friday (0) | 2015.07.03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5.07.02 Thursday (0) | 2015.07.02 |
14.09.05 금요일
비굴해질 수 없는 하나님 백성의 정체성
(에스더 3:1~15)
@ 하만에게 절하지 않은 모르드개(3:1~6)
1. 이런 일들이 있은 후 아하수에로 왕은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의 지위를 모든 귀족들 가운
데 가장 높은 자리에 올려 주었습니다.
2. 왕의 문에 있는 왕의 모든 신하들은 하만에게 무
릎을 꿇고 경의를 표했습니다. 왜냐하면 그에게
그렇게 하라는 왕의 명령이 내려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르드개는 무릎을 꿇지도, 경의를 표하지
도 않았습니다.
3. 그러자 왕의 문에 있던 신하들이 모르드개에게 물
었습니다. "왜 왕의 명령을 거역하느냐?"
4. 날마다 그들이 모르드개를 설득하려 했지만 그는
그 말을 듣지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자신이
유다 사람임을 밝힌 모르드개의 행동이 어떤 결과
를 초래하는지 보려고 하만에게 고자질했습니다.
5. 하만은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절하지도, 경의를 표
하지도 않는 것을 보고 화가 치밀어 올랐습니다.
6. 그런데 하만은 모르드개가 어디 출신인지 알게 된
후 모르드개 한 명만 죽이는 것으로는 별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하여 하만은 아하수에로
왕국 전역에 있는 모르드개의 민족인 유다 사람들을
모조리 쓸어버릴 묘안을 찾아냈습니다.
* 오늘의 찬송(새 336 통 383)
환난과 핍박 중에도 성도는 신앙지켰네
이 신앙 생각 할 때에 기쁨이 충만하도다
성도의 신앙따라서 죽도록 충성 하겠네/
옥중에 매인 성도나 양심은 자유 얻었네
우리도 고난 받으면 죽어도 영광 되도다
성도의 신앙따라서 죽도록 충성 하겠네/
* 본문해설
왕은 자기 생명을 구해 준 모르드개에게는 아무
보상도 해 주지 않은 채, 갑작스럽게 하만을 높이
고 신하들에게 하만 앞에 꿇어 절하라고 명령합니
다. 하만은 광야 시절에 이스라엘을 대적하던 아말
렉 족속, 아각 사람입니다(출 17:8~16; 삼상 15:32~33).
모르드개가 그에게 절하지 않은 이유는 명확히 나
와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모르드개가 자신이 유다
민족임을 밝힌 사실로 볼 때, 하만이 신적 경배 수
준의 복종을 요구했거나 아니면 아말렉 족속에 대
한 민족적 반감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모르드개의 태도에 분노한 하만은 그 한 사람을
죽이는 데 만족하지 않고 유다 민족 전부를 없애려
고 계획합니다. 세상은 성도의 믿음 생활을 곱지
않은 눈으로 바라보며 공격합니다. 그럴지라도 성
도는 하나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언제나 당당히
밝힐 수 있어야 합니다.
* 묵상 질문
모르드개가 하만에게 무릎 꿇어 절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 적용 질문
오늘날 사회에서 관행으로 자리한 우상 숭배가
있다면 무엇이며, 성도는 이것에 대해 어떤 태도
를 보여야 할까요?
* 오늘의 기도
제게 주신 물질, 명예, 자녀가 하나님보다 앞선
우상이 되지 않는지 늘 분별하게 하소서. 믿음
을 지키기 위해 애매하게 겪는 고난과 손해를
두려워하지 않고, 오직 주님만을 섬기는 용기
로 살게 하소서.
'매일QT로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 2014.09.06 Saturday 내가 매일 QT하는 생명의 삶~~ (0) | 2014.09.06 |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4.09.05 Friday (0) | 2014.09.05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4.09.04 Thursday (0) | 2014.09.04 |
[200] 2014.09.04 Thursday 내가 매일 QT하는 생명의 삶~~ (0) | 2014.09.04 |
'365 이야기' 하용조 목사님 2014.09.03 Wednesday (0) | 201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