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QT로시작 2015. 8. 26. 16:53

365 이야기

 

남을 섬길 때 손해보고 있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

 

성경은 남에게 선을 베풀고 약자와 가난한 자

를 도우라고 말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상 사람들은 선행은 그 사람들의 도덕성에

기초한 것이지만, 성경은 예수님이 그렇게

하셨기 때문' 이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왜 자기를 기쁘게 하면 안됩니까?

예수님이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않으셨기 때문

입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위해서는 십자가를

지실 필요가 없었지만 당신과 나를 위해서 십

자가를 지셨습니다. 다른 사람을 위해 고생할

때 '내가 왜 이런 고생을 하는가' 라고 생각하

지 마십시오. 다른 사람은 다 떠나고 당신 혼

자 남아서 청소하게 되는 것도 축복입니다.

예수님이 그렇게 하셨습니다.

 

자신을 기쁘게 하면서 살지 말고 자식들과 부

모님을 기쁘게 해드리면서 사십시오. 이웃과

형제자매들을 섬기며 사십시오.

 

"그리스도께서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

나니 기록된 바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함과 같으니라."(롬 15:3)

 

<행복한 아침 - 하용조>

posted by joy&grace
:
매일QT로시작 2015. 5. 13. 08:51

365 이야기

 

예수님은 이 땅에 인간의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인간에 대한 사랑 때문에, 인간과 소통하기 위해

오셨습니다. 우리와 소통하기 위해서 예수님은

하나님이라는 기득권을 포기하셨습니다. 예수님

은 하나님 되기를 포기하셨습니다.

 

사랑이란 기득권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자녀에

대한 사랑도, 부부간의 사랑도, 남녀의 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랑이 깊어질수록 갈등이 많

아지는 이유는 서로 기득권을 버리지 않기 때문

입니다. 그 사랑은 어느 날 집착으로 변합니다.

사랑한다고 착각하며 상대방을 속박하려 들고,

주는 만큼 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불만이 생기고

우울해집니다. 인간의 사랑이 열정적이지만 외

로운 이유가 거기에 있습니다.

 

예수님의 사랑은 차원이 다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 되시는 것도 포기하고 손해 보기로 결

정하고 죽기로 결정하고 고난을 당하기로 결

정하셨습니다. 아무리 옷을 바꿔 입어도 그 사

람의 본질은 바뀌지 않듯이 예수님은 본래 하

나님이십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이 되셨기에

원죄로 말미암아 지옥에 가게 된 인간을 구원

하신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가하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라

(고후 5:14).

 

<감사의 저녁 - 하용조>

 

posted by joy&grace
:
매일QT로시작 2014. 9. 18. 09:32

14.09.18 목요일

'365 이야기'

 

참된 예배는 형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부분보다 보이지 않는 부분에 있습니다.

 

진정한 헌신과 봉사도 형식에 있지 않습니다. 사람 보기

에, 나 보기에 좋은 것은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하나님이 예배를 받으셔야 합니다.

 

진정한 예배는 형식과 이해 관계를 떠나 마음의 중심으

로 하나님을 찾는 것입니다. 이를 가늠하는 것은 스스로

얼마나 헌신하고 희생하고 손해 보았느냐 하는 것입니다.

 

손해를 한번도 보지 않은 사람은 진정한 예배를 드린

사람이 아닙니다.

희생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사람은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지 않은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

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의 드릴 영적 예배니라"

(롬 12:1)

 

<행복한 아침 - 하용조>

posted by joy&gra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