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QT로시작 2015. 1. 14. 08:56

'365 이야기'

 

예수님께서 크리스천에게 별명을 붙여 주셨습니다.

그중 하나가 소금입니다. 소금은 크리스천의 존재

양식입니다. 소금에는 두 가지 역할이 있습니다.

첫째, 맛을 내는 역할입니다. 적당한 소금은 신비로

운 맛을 냅니다. 맛없는 이 세상, 무리력한 이 세상,

허무한 이 세상에서 크리스천은 맛을 내는 사람입니

다. 둘째, 방부제 역할입니다. 음식이 썩지 않도록

오래 보존해 줍니다. 마찬가지로 크리스천은 썩어

가는 이 세상에서 방부제 역할을 하는 사람입니다.

소금에는 독특한 특성이 있습니다. 영향력입니다.

소금을 뿌리면 뿌린 곳만 짜지 않습니다. 녹아서 

전체로 퍼집니다. 이것이 영향력입니다. 이와 같이

크리스천은 형태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맛이 중요

합니다. 본질이 중요합니다. 소금이 맛을 잃어버리

면 쓸 데가 없습니다. 그래서 밖에 버려지고 사람들

에게 짓밟히게 됩니다. 크리스천이 크리스천 답게

살지 않으면 사람들의 관심은 멀어집니다. 사람들은

그를 밖에 버리고 짓밟을 것입니다. 이것이 소금의

운명입니다.

우리가 가는 곳마다 우리를 통해 썩어가는 것들이

살아나기를 바랍니다. 우리 삶과 주변이 거룩해지고

영광스럽게 되도록 기도하십시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마 5:13).

 

<감사의 저녁 - 하용조>

 

                                                                                                                                                                                                                                                                                                                                                                                                                                                                                                                                                                                                                                                                                                                                                                                                                                                                                                                                                                                                                                                                                                                                                                                                                                                                                                                                                                                                                                                                                                                                                                                                                                                                                                                                                                                                                                                                                                                                                                                                                                                                                                                                                                                                                                                                                                                                                                                                                                                                                                                                                                                                                                                                                                                                                                                                                                                                                                                                                                                                                                                                                                                                                                                                                                                                                                                                                                                                                                                                                                                                                                                                                                                                                                                                                                                                                                                                                                         

posted by joy&grace
:
매일QT로시작 2014. 12. 5. 14:21

365 이야기

 

찬송은 은혜 받은 자만이 부를 수 있는 하늘의 노래

입니다. 감사와 감격과 눈물 없이는 진정한 찬송이

없습니다. 기도가 메마르면 찬송도 메마릅니다. 말

씀이 메마르면 찬송도 매마릅니다. 사랑과 겸손이

메마르면 찬송이 나오지 않습니다.

신앙의 척도는 찬송에 있습니다. 입술에서 감사와

찬송이 나오는 사람은 성령 충만하기 때문입니다.

성령 충만하지 않으면 자기도 모르게 찬송이 사라

집니다. 감사가 사라지고 기도가 사라집니다.

눈물을 흘리며 목이 쉬도록 찬송을 불렀던 적이 있

습니까? 나는 1966년에 첫 은혜를 받았습니다. 한

달 동안 찬송을 불러서 완전히 목이 상했습니다. 그

때 많이 불렀던 찬송이 "나 같은 죄인 살리신", "주

예수 대문밖에", "주 달려 죽은 십자가"등입니다.

그 찬송이 너무 좋아 한 달 동안 목이 쉬도록 불렀습

니다. 주님이 나를 찾아오셔서 피 묻은 손을 보여 주

셨고, 그 사랑을 보여 주셨기 때문에 감격에 찬 찬양

을 드렸습니다.

복음을 가진 크리스천은, 예수를 만난 크리스천은,

하늘의 신령한 복을 경험한 크리스천은, 구원을 경험

한 크리스천은 찬송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주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전심으로 주를 찬송하고

영원토록 주의 이름에 영광을 돌리오리니 이는 내게

향하신 주의 인자하심이 크사 내 영혼을 깊은 스올에

서 건지셨음이니이다"

(시 86:12~13).

 

<감사의 저녁 - 하용조>

posted by joy&grace
:
매일QT로시작 2014. 9. 26. 13:59

14.09.26 금요일

'365 이야기'

 

순종은 믿음이 최고봉

 

크리스천으로서의 이상은 예수님 처럼 순종하는

수준에 이르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생애는 처음부

터 끝까지 하나님의 뜻에 철저하게 순종하는 삶이

었고, 자신에게 주어진 십자가의 사명을 죽음으로

책임지는 삶이었습니다.

 

순종은 책임 전가나 무책임과는 거리가 멉니다.

순종할 줄 아는 사람만이 책임질 줄 알며, 책임질

수 있는 사람만이 순종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순

종은 강한 사람만 할 수 있는 승리의 표현입니다.

자신과 싸워 이길 수 없는 사람은 절대 진정한 순

종을 할 수 없습니다. 자아가 깨지고 부서질 때

겸손하게 온전한 순종을 행 할 수 있습니다.

 

순종은 믿음의 결정입니다. 예수님의 인생이 철저

하게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삶이었다면, 반대로

우리는 언제나 다른 사람을 내 생각과 내 뜻대로

지배하려는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삶을 삽니다.

완전한 순종과 책임의 조화를 이루셨던 예수님의

삶을 따르는 것, 이것이 바로 참된 크리스천의 모습

입니다.

 

"예수께서 신 포도주를 받으신 후 가라사대 다

이루었다 하시고 머리를 숙이시고 영혼이 떠나

가시니라"(요 19:30).

 

<행복한 아침 - 하용조>

posted by joy&grace
: